백화점 명품 화장품 매출 증가율 16∼24% 기록
최근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소비 트렌드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고가의 가방이나 의류보다 비교적 저렴한 명품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의 지난해 명품 화장품 매출 증가율은 16∼24%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명품 패션 매출 증가율은 5∼11%에 머물러, 명품 화장품 시장의 성장세가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 롯데백화점: 명품 화장품 매출 20% 증가 (패션 매출 5%)
- 신세계백화점: 명품 화장품 매출 16.3% 증가 (패션 매출 6.2%)
- 현대백화점: 명품 화장품 매출 24% 증가 (패션 매출 11.7%)
이러한 소비 경향은 '스몰 럭셔리(Small Luxury)' 트렌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경기 침체기에는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에 달하는 명품 가방보다 립스틱, 아이섀도와 같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화장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립스틱 효과'로 명품 화장품 매출 견인
전문가들은 명품 화장품의 인기 요인 중 하나로 ‘립스틱 효과(Lipstick Effect)’를 꼽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기에는 소비자들이 고가의 패션 제품 대신 작은 사치를 즐길 수 있는 명품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롯데백화점 뷰티팀 관계자는 "명품 뷰티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스몰 럭셔리' 소비 패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대백화점 역시 "명품 브랜드의 뷰티 제품이 백화점 전체 화장품 매출을 견인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온라인 시장에서도 럭셔리 뷰티 확산
명품 화장품의 인기는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쿠팡은 지난해 10월부터 럭셔리 뷰티 서비스 '알럭스(R.LUX)' 를 운영하며, 입점 브랜드를 22개에서 34개로 확대했습니다. 특히 랑콤, 에스티로더 등 수입 고가 화장품 브랜드가 주로 입점해 있으며, 최고가 제품은 주름 개선 크림으로 130만 원에 달합니다.
명품 브랜드, 화장품 사업 확장 나서
명품 브랜드들은 변화하는 소비 패턴에 대응해 화장품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습니다.
- 루이뷔통: 창립 이후 처음으로 화장품 라인 '라 보떼 루이뷔통(La Beaute Louis Vuitton)'을 출시할 예정이며, 올가을 출시가 예상됩니다.
- 프라다: 2023년 화장품 시장에 진출한 후, 지난해 8월 국내 백화점에 입점하였으며, 올해 1월에는 서울 성수동에 국내 첫 단독 매장 '프라다 뷰티 성수'를 개장했습니다.
명품업계, 안정적인 수익 확보 전략
루이뷔통, 디올, 펜디 등이 속한 명품 그룹 LVMH(루이뷔통모에헤네시) 의 지난해 매출은 846억8,3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2% 감소했습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패션·가죽 제품 매출은 3% 감소한 반면, 향수·화장품 부문 매출은 2% 증가해 명품 화장품의 견조한 수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품업계 관계자는 "경기 침체 속에서도 명품 화장품 시장은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며 "이러한 이유로 명품 브랜드들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화장품 사업을 확장하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경기 불황 속에서도 명품 화장품 시장은 '스몰 럭셔리' 트렌드와 '립스틱 효과'를 바탕으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요 명품 브랜드들도 화장품 시장에 적극 진출하며 새로운 소비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향후 명품 화장품 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지 주목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아파트 임대시장, 월세가 전세 거래량 앞질렀다 – 월세화 가속화 전망 (4) | 2025.03.10 |
---|---|
테슬라 주가 7주 연속 하락… 서학개미 레버리지 ETF 순매수 증가 (6) | 2025.03.09 |
2025년 3월 세계 식량 가격 상승 – 설탕·유제품·곡물 가격 동향 (2) | 2025.03.09 |
2025년 3월 첫째 주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 4주 연속 하락 – 주유소 유가 동향 (4) | 2025.03.09 |
2024년 대출 문턱 완화! 어떤 은행에서 대출받을 수 있을까? (2) | 2025.03.09 |